능인대덕이 수련을 마치고 종이 봉황을 날려 그 봉황이 머문 곳에 자리 잡았다고 해서 이름 붙여졌다는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鳳停寺)’.

봉정사는 규모가 장대하거나 웅장하지는 않지만, 그 신비로운 전설만큼이나 소중한 문화유산이 가득한 곳이다. 국보 제311호 대웅전을 비롯해 보물로 지정된 화엄강당, 고금당, 영산회상도, 목조관음보살좌상 등 무수히 많은 문화유산을 품고 있으니, 박물관이라고 이야기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또한, 봉정사는 고려 중기 건축양식부터 조선 후기 건축양식까지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건축학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는 사찰이기도 하다.

특히, 봉정사에는 고려 중기 지어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이 자리 잡고 있다. 국보 제15호(1962년 12월 20일 지정) ‘극락전’이 그 주인공이다.

봉정사 극락전은 682년(신문왕 2) 의상국사(義湘國師)에 의해 창건됐다고 전해진다. 원래는 대장전이라 불렀으나 뒤에 극락전이라 개칭한 것으로 보인다. 1972년 보수공사때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지붕을 크게 수리했다”는 기록이 담긴 상량문을 발견했는데, 우리 전통 목조건물은 신축 후 지붕을 크게 수리하기까지 통상적으로 100~150년이 지나야 하므로 건립연대를 1200년대 초로 추정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판단되는 이유다.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 주심포 건물로, 고려시대 건물이지만 전대인 통일신라시대의 건축양식도 내포하고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기둥은 배흘림 형태이며, 처마 내밀기를 길게 하기 위해 기둥위에 올린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건물 안쪽 가운데에는 불상을 모셔놓고 그 위로 불상을 더욱 엄숙하게 꾸미는 화려한 닫집을 만들었다. 또한 불상을 모신 불단의 옆면에는 고려 중기 도자기 무늬와 같은 덩굴무늬를 새겨 놓았다. [자료=안동시청, 문화재청]

 

저작권자 © 도시정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