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및 대전‧세종‧대구 특히 많아

아파트 거래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 3분기 아파트 하락거래량이 상승거래량을 넘어선 이후 현재까지도 하락거래 위주의 시장이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 부동산정보업체 직방이 지난 3분기에 이어 4분기 아파트 상승‧하락거래를 분석한 결과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5만17건, 그 중 서울은 1927건으로 집계됐다. 2006년 주택 거래 신고제가 도입된 이후 역대 최저치로, 2006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의 분기별 평균 거래량은 전국 약 14만4000건, 서울 약 1만8000건이었다.

또한, 각 거래건마다 직전 동일면적 거래가격과의 차이를 바탕으로 상승 및 하락거래 여부를 분류한 뒤 각각의 구성비율을 확인한 결과, 4분기 현재 전국 아파트의 직전 대비 5% 이상 대폭 하락거래의 비율은 37.7%, 서울은 51.6%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직방은 “서울의 경우 실거래 신고제도가 도입 된 이후 처음으로 대폭 하락거래가 전체 거래의 과반을 돌파한 것이며, 오차범위 ±1%를 제외한 전체 하락거래는 총 거래량의 2/3에 달한다”면서 “전국과 서울 모두 5% 이상 대폭 하락거래의 과거 최고치는 금융위기의 여파가 있었던 2008년 4분기였는데, 올해 4분기 현재 과거 최고치보다도 4~5%p 가량 높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직방은 “역으로 상승거래는 크게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서울의 경우 직전 대비 5% 이상 상승거래의 비율이 4분기 현재 12.4%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면서 “단지 내 동일 면적이라도 리모델링 여부와 층 및 향 등에 따라 가격 편차가 있을 수 있고, 분석에 이 부분이 통제되지 않았음을 고려하면, 실제 시장에서 동일 조건 아파트의 상승거래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수준일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3분기부터 4분기 현재까지 수도권과 세종시 및 전국 광역시 지역에서는 ±1% 오차범위를 넘어선 하락거래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경기를 제외한 8개 도 지역에서는 상승거래와 하락거래가 상대적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특히 수도권, 대전-세종 및 대구에서 하락거래의 비율이 높았는데, 수도권과 대전-세종은 최근 2030 세대의 매수세가 강했던 지역이고 청년층은 주택 매수 시 상대적으로 자기자산보다 대출의 비중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근 급격한 금리인상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대구의 경우 청년층의 매수세는 상대적으로 강하지 않았으나, 수요 대비 과도한 아파트 공급으로 미분양 단지가 속출하는 등 침체 분위기가 완연한 지역이라는 점으로 인해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도시정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