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 ‘디지털 건설기술의 온실가스 감소효과’

전 세계 탄소배출량의 39%는 건축물의 운영과 건설자재의 생산 및 시공단계에서 배출되고 있고, 특히 재시공에 의한 폐기물 처리과정을 포함하면 시공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더욱 증가한다.

이처럼 계획-시공-운영-철거단계로 분류되는 건축물 생애주기 중 시공단계는 단기간에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어 이에 대한 탄소중립정책 수립이 시급한 상황이나, 우리나라 건축물 부문의 탄소중립 추진전략은 운영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한 것들이 대부분인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온실가스 감소를 위한 건설정보모델링(BIM)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보고서가 나와 눈길을 끈다.

국토연구원 이치주 부연구위원은 국토정책Brief ‘디지털 건설기술의 온실가스 감소효과를 통해 BIM 적용에 따른 온실가스 감소효과를 분석하고, 친환경 시공을 위한 BIM 활성화 방안으로 디지털·친환경 건축물인증제도 수립을 제안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사례 건축물의 시공단계에서 BIM을 적용할 경우 약 113211kgCO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인 이하의 승용차·승합차 약 64대가 2km를 주행할 때 배출되는 온실가스량과 동일한 수치로, 온실가스 약 113211kgCO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12441~13977 그루의 소나무가 필요하다.

특히, 이는 엄격한 분석을 위해 운송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최단 거리만을 가정한 결과인 만큼 실제로는 더 많은 온실가스가 운송단계에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BIM 기술은 아직 안정단계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2월 공공발주기관의 BIM 담당자 1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종간 설계 조율 및 시공성 검토 BIM 모델로부터 시공도면 생성 공정시각화 및 4D 시뮬레이션 견적 및 물량 생성 등 일부 기능에 대해서는 효과를 인정했으나, BIM 도입단계를 안정단계로 인식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치주 부연구위원은 친환경 시공을 위한 BIM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디지털·친환경 건축물인증제도의 수립을 제안하며, 발주자와 건설사로 구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내용을 제안했다.

- 발주자 관점 : 인증대상은 건축물. 용적률 등 건축물 규제 완화와 건축물 취득세, 등록세 경감 등 인센티브 부여 및 기존의 녹색건축인증(G-SEED)과 연계해 지원혜택을 증가시키는 방안 검토

- 건설사 관점 : 인증대상은 기업으로 하되 사업계획서 작성단계에서는 BIM의 적용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와의 연계성,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적절성 등을 공사수행단계에서는 준공서류를 제출할 때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평가

- 지원이 필요한 사항 : 발주자와 건설사가 디지털·친환경 건축물인증을 받도록 온실가스 감소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정량화된 기준 수립 국가 LCI(Life Cycle Inventory, 전과정평가) DB의 확대 개발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 자동 계산 프로그램 개발 내재탄소가 적은 건설자재 사용 지원 폐기물이 적은 건설공법과 재활용 가능성이 큰 건설자재 사용 지원 등 추진

 

저작권자 © 도시정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